나폴리에서의 4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폴리에서의 4일은 1962년 개봉한 이탈리아 영화로, 1943년 9월 27일부터 30일까지 나폴리에서 일어난 독일군 점령에 대한 민중 봉기를 소재로 한다. 이 영화는 난니 로이 감독이 연출하고, 고프레도 롬바르도가 프로듀싱했으며, 흑백 시네마스코프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제한된 무기와 조직에도 불구하고 나폴리 시민들의 자발적인 봉기로 독일군이 도시에서 철수하도록 강요했다는 역사적 사건을 다루며, 네오리얼리즘 기법과 다큐멘터리적 연출을 통해 저항 정신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이 작품은 비평적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전쟁 영화 - 전화의 저편
《전화의 저편》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한 옴니버스 영화로,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 인간 군상을 통해 전쟁의 무의미함과 소통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네오리얼리즘 대표작이다. - 이탈리아의 전쟁 영화 - 로베레의 장군
로베레의 장군은 로베르토 로셀리니 감독의 1959년 영화로,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사기꾼이 로베레 장군으로 위장해 포로수용소에 잠입하며 겪는 변화와 갈등을 그린 네오 리얼리즘 영화이며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작이다. - 나폴리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아카딘 씨
오슨 웰스가 감독, 각본, 주연을 맡은 1955년 영화 아카딘 씨는 백만장자 그레고리 아카딘이 자신의 과거를 숨기기 위해 고용한 밀수업자를 통해 어두운 비밀을 감추려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등장인물과 여러 편집본 존재, 웰스의 창작 통제권 상실 등이 특징이다. - 나폴리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이탈리아 여행
로베르토 로셀리니 감독의 1954년 영화 《이탈리아 여행》은 영국 부부가 이탈리아 별장 여행 중 겪는 갈등과 화해를 그리며, 프랑스 뉴웨이브 영화에 영향을 주고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을 넘어선 영화로 재평가받는 작품이다. - 1962년 영화 - 아라비아의 로렌스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는 데이비드 린 감독의 1962년 영국·미국 합작 서사 모험 영화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T.E. 로렌스가 아랍 반란에 참여하여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웅장한 사막 풍경과 함께 묘사하며, 아카데미상 7개 부문을 수상하는 등 흥행과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역사적 정확성에 대한 논란도 있다. - 1962년 영화 - 서부 개척사
서부 개척사는 1830년대부터 1880년대까지의 서부 개척 시대를 배경으로 프레스콧 가문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물들의 삶과 시대별 주요 사건들을 다룬 1962년 개봉한 미국 서부 영화이다.
나폴리에서의 4일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Le quattro giornate di Napoli |
감독 | 난니 로이 |
제작자 | 고프레도 롬바르도 |
각본 | 카를로 베르나리 파스콸레 페스타 캄파닐레 마시모 프란시오사 난니 로이 바스코 프라톨리니 |
출연 | 레지나 비안키 알도 주프레 |
음악 | 카를로 루스티켈리 |
촬영 | 마르첼로 가티 |
편집 | 루게로 마스트로이안니 |
배급사 | 미국: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이탈리아: 티타누스 |
개봉일 | 1962년 11월 16일 1963년 3월 19일 |
상영 시간 | 124분 |
제작 국가 | 이탈리아 |
언어 | 이탈리아어 |
제작비 | 80만 달러 |
흥행 수입 | 이탈리아: 2백만 달러 |
기타 정보 |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3회 (1963년) |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 중이던 1943년, 베니토 무솔리니가 실각하고 새로 들어선 이탈리아 정부는 연합국에 항복했다.[18] 그러나 이는 평화로 이어지지 못하고, 곧이어 독일군이 나폴리를 점령하게 된다. 독일 점령군은 도시를 장악한 후 젊은 남성들을 강제 노동을 위해 독일로 이송하려 했으며, 저항하는 시민들을 사살하고 항만 시설을 파괴하는 등 탄압 정책을 펼쳤다.[18] 건물을 파괴하고 남성들을 강제로 집합시키는 등의 만행은 나폴리 시민들의 분노를 일으켰고, 이는 결국 시민 전체가 참여하는 대규모 저항 운동으로 이어졌다.[18] 연합군이 살레르노에서 북상하고 있다는 소식과 함께, 특히 독일군이 이탈리아 해군 병사들을 공개 처형한 사건은 시민들의 봉기를 촉발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43년 9월 말, 나폴리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봉기하여 독일군에 맞서 싸우게 된다 (나폴리의 4일).
2. 1. 나폴리의 4일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3년, 베니토 무솔리니 실각 후 들어선 이탈리아 신정부는 연합국에 항복했다. 이에 독일군은 나폴리를 점령하고 시민들에 대한 탄압을 시작했다. 독일군은 저항자를 사살하고, 항만 시설을 파괴했으며, 젊은 남성들을 강제 노동을 위해 독일로 끌고 가려 했다.[18]독일군의 만행, 특히 이탈리아 해군 병사들에 대한 공개 처형은 나폴리 시민들의 분노를 촉발시켰다. 1943년 9월 27일, 나폴리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봉기하여 독일군에 맞서 싸우기 시작했다. 이 봉기는 9월 30일까지 4일간 이어졌으며, 이를 '나폴리의 4일'이라고 부른다.

시민들은 변변한 무기나 조직적인 지휘 체계가 부족했음에도 용감하게 저항했다. 시가전과 게릴라전 등 다양한 형태로 독일군에 맞섰으며, 이러한 시민 전체의 저항은 결국 독일군을 도시 외곽으로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18] 독일군은 연합국 군대가 살레르노 교두보에서 진격해 도착하기 직전에 나폴리에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이 사건은 제한된 무기와 조직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자발적인 봉기가 점령군을 몰아낸 사례로 기록되었다.
3. 영화 제작
이탈리아의 영화 제작사 티타누스가 제작하고 고프레도 롬바르도가 프로듀싱을 맡았다. 난니 로이 감독은 파스콸레 페스타 캄파닐레, 마시모 프란치오사, 바스코 프라톨리니와 함께 원안을 집필했으며, 카를로 베르나리, 파스콸레 페스타 캄파닐레, 마시모 프란치오사, 난니 로이와 함께 각본을 완성했다.
주요 제작진은 다음과 같다.
역할 | 이름 |
---|---|
프로듀서 | 고프레도 롬바르도 |
감독 | 난니 로이 |
원안 | 파스콸레 페스타 캄파닐레, 마시모 프란치오사, 난니 로이, 바스코 프라톨리니 |
각색 | 카를로 베르나리, 파스콸레 페스타 캄파닐레, 마시모 프란치오사, 난니 로이 |
촬영 | 마르첼로 가티 |
미술 | 잔니 폴리도리 |
편집 | 루제로 마스트로얀니 |
음악 | 카를로 루스티켈리 |
영화는 흑백으로 촬영되었으며, 화면 비율은 시네마스코프(2.35:1)이고 모노럴 사운드로 제작되었다.
3. 1. 촬영
이 영화는 사건이 실제로 일어난 나폴리 거리에서 촬영되었다. 영화 제작자들은 영화의 "스타"는 "나폴리 사람들"이라고 단호하게 밝히며, 그들과 사망자들을 기리기 위해 전문 배우들은 영화 크레딧에서 이름을 생략하기로 동의했다.[4]3. 2. 연출
난니 로이 감독은 이 작품에서 나폴리의 저항운동, 시민 봉기, 시가전 등을 기록 영화와 같은 수법을 사용하여 충실하게 재현했다.[18] 이 영화는 신인 감독이었던 난니 로이가 널리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으며, 특히 군중 장면과 현실 묘사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18] 네오리얼리즘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도 다큐멘터리 기법을 더욱 강조한 연출 방식을 선보였는데, 이는 새로운 유형의 이탈리아 영화로서 주목받는 결과를 낳았다.[18]4. 등장인물
- 레지나 비안키 - 콘체타 카푸오초 역
- 알도 주프레 - 피트렐라 역
- 레아 마사리 - 마리아 역
- 장 소렐 - 리보르노 선원 역
- 프랑코 스포르텔리 - 로사티 교수 역
- 샤를 벨몽 - 선원 역
- 잔 마리아 볼론테 - 스티모로 역
- 프랭크 울프 - 살바토레 역
- 루이지 데 필리포 - 치칠로 역
- 푸펠라 마조 - 아르투로의 어머니 역
- 조르주 윌슨 - 소년원 사감 역
- 라파엘레 바르바토 - 아이엘로 역 [13]
- 로살리아 마지오 - 고뇌하는 여성 역 [17]
- 엔초 칸나발레 - 레지스탕스 역
- 도메니코 포르마토 - 젠나로 카푸오초 역 [14]
- 커트 로웬스 - 사카우 역
- 엔초 투르코 - 노병 역
- 실바나 부잔카 - 무원죄의 마리아 역 [15]
- 안토넬라 델라 포르타 [16]
- 아드리아나 파케티 - 고뇌하는 여성 역
- 안나 마리아 페레로
- 베라 난디 [17]
5. 평가 및 수상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 5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80%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7.5/10점이다.[5]
1963년 이탈리아의 나스트로 다르젠토 상에서는 난니 로이가 최우수 작품 감독상을 수상했으며, 카를로 베르날리, 파스콸레 페스타 캄파닐레, 마시모 프란치오사, 난니 로이가 공동으로 각본상을, 레지나 비안키가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7] 또한 미국 아카데미상에서는 1963년 제35회 시상식에서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고,[7] 1964년 제36회 시상식에서는 각본상 후보에 올랐다.[7]
5. 1. 한국에서의 평가
이 영화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폴리에서 일어난 나치 독일 점령군에 대한 시민들의 저항 운동, 봉기, 그리고 시가전을 기록영화와 같은 기법으로 충실하게 재현한 작품이다.[18] 신인 감독이었던 난니 로이는 이 영화를 통해 널리 인정받게 되었으며, 특히 군중 장면 연출과 현실 묘사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영화는 이탈리아 네오 리얼리즘의 전통을 이으면서도 다큐멘터리 기법을 더욱 강조하여, 당시 새로운 유형의 이탈리아 영화로서 주목받았다.[18]6. 영화의 영향 및 의의
영화 《나폴리에서의 4일》은 나폴리의 저항운동, 시민 봉기, 시가전을 기록영화와 같은 수법으로 충실하게 재현한 작품이다.[18]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3년 9월 27일부터 9월 30일까지 실제로 나폴리에서 일어난 독일 점령군에 대한 민중 봉기, 즉 '나폴리의 4일' 사건을 소재로 하고 있다.
감독 난니 로이는 이 작품을 통해 널리 인정받았으며, 특히 군집 장면과 현실 묘사가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18] 영화는 네오 리얼리즘의 전통을 지키면서도 다큐멘터리 수법을 더욱 강하게 보여주는 연출을 통해, 새로운 타입의 이탈리아 영화로서 주목을 끌었다.[18] 이러한 작품성을 인정받아 1963년 나스트로 다르젠토 상에서 최우수 작품 감독상(난니 로이), 각본상(카를로 베르날리, 파스콸레 페스타 캄파닐레, 마시모 프란치오사, 난니 로이), 여우조연상(레지나 비안키)을 수상했다.[7] 또한, 아카데미상에서도 제35회 시상식에서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고[7], 제36회 시상식에서는 각본상 후보에 지명되었다.[7]
참조
[1]
뉴스
Four Days' Budget 'High' at $800,000: Italian Director Loy Here; UCLA Adapts 'Spoon River'
Los Angeles Times
1963-03-11
[2]
웹사이트
The 35th Academy Awards (1963)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11-11-01
[3]
웹사이트
3rd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63)
http://www.moscowfil[...]
2012-12-01
[4]
뉴스
Gibraltar Chronicle
1964-10-14
[5]
웹사이트
le-quattro-giornate-di-napoli-the-four-days-of-naples
https://www.rottento[...]
[6]
포스터
祖国は誰れのものぞ
MGM日本支社
1963
[7]
웹사이트
Le quattro giornate di Napoli
2011-03-07
[8]
웹사이트
Le Quattro Giornate di Napoli
2011-03-07
[9]
웹사이트
祖国は誰のものぞ
2011-03-07
[10]
웹사이트
祖国は誰のものぞ
2011-03-07
[11]
웹사이트
Marcello Gatti
https://www.imdb.com[...]
2011-03-07
[12]
웹사이트
Gianni Polidori
https://www.imdb.com[...]
2011-03-07
[13]
웹사이트
Raffaele Barbato
https://www.imdb.com[...]
2011-03-07
[14]
웹사이트
Dominico Formato
https://www.imdb.com[...]
2011-03-07
[15]
웹사이트
Silvana Buzzanca
https://www.imdb.com[...]
2011-03-07
[16]
웹사이트
Antonella Della Porta
https://www.imdb.com[...]
2011-03-07
[17]
웹사이트
Vera Nandi
https://www.imdb.com[...]
2011-03-07
[18]
간행물
조국은 누구의 것이냐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